제주 상공에서 드론택시 언제 날아다닐까

조회 : 3  2025-02-03 플라이존드론교육원

https://www.newsjeju.net/news/articleView.html?idxno=407583


제주 상공에서 드론택시 언제 날아다닐까

제주자치도, 올해 미래항공 상용화 기반 마련에 박차

▲ 가파도 배송에 시범운행으로 쓰였던 드론.
▲ 가파도 배송에 시범운행으로 쓰였던 드론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

제주자치도는 지난해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을 통해 전국에선 처음으로 드론 운송사업 상용화에 한걸음 내딛은 바 있다. 배송 환경이 열악한 섬 지역을 대상으로 드론을 활용해 생활필수품을 배송했으며, 적극행정 우수사례에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등의 결실을 맺었다.

올해 진행되는 사업은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지난 16일부터 2월 중순까지 공모가 접수됐으며, 이번에 선정될 경우 5년 연속으로 다양한 드론 실증과 상용화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주가 최초다.

지난해부터 추진중인 도심항공교통(UAM) 인프라 조성 기본계획이 올해 마무리되면 도심항공교통(UAM) 이착륙장인 버티포트에 대한 입지 분석 등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올해엔 도심항공교통(UAM) 시범운용구역 지정에 온 힘을 기울이고, 지난해에 이어 제주 글로벌 미래항공우주 컨페스타를 개최해 국제 미래항공 전문가들과 최신 정보공유의 장을 마련하고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아울러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한 제도적 근거도 마련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도심항공교통 활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시행해 도심항공교통(UAM) 활용의 기준점을 수립했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도만의 도심항공교통(UAM)의 활용, 산업 육성과 이에 따른 행정·재정적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제도를 새롭게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조성사업도 올해 계속 추진된다. 지난 2021년부터 추진 중인 이 사업은 제주도의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 모델을 발굴해왔다. 올해엔 국립기상과학원과 협업해 드론을 활용한 도심항공교통 환경 분석과 도내 주요 축제 및 행사에 장기체공이 가능한 유선 드론을 배치하고, 드론통합관제센터와 연계해 위험구간을 식별하는 등 안전 모니터링을 실시해 안전 관광·레저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외에 올해에도 제주도의 푸른 밤을 환하게 밝혀줄 드론라이트 쇼를 도내 대표적인 축제와 연계할 계획이다. 지난해 도민체육대회와 성산 조개바당축제, 제주 글로벌 미래항공우주 컨페스타, 제주마축제와 연계해 도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올해엔 지난해보다 더욱 다채롭고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할 방침이다.

드론레저의 메카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 드론레저 활성화 사업도 추진된다. 제주도정은 지난 3년 동안 매년 제주컵 드론축구대회를 개최해 드론을 통한 레저산업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특히 올해엔 에는 전국 드론 낚시대회를 개최해 드론산업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등 국내 드론 레저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기획 추진할 계획이다.

양제윤 혁신산업국장은 "올해는 미래항공에 대한 도민 체감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미래의 먹거리산업인 도심항공교통(UAM)과 드론 선도도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상담전화

1588-8789.031-411-3219.010-3424-3219

상담시간 : 상담시간 : 평일 AM8:00 ~ PM8:00

교육신청문의, 기타 궁금하신 사항 문의하세요.

Tel. 1588-8789
Copyright (c) 2025 플라이존드론.kr All Rights Reserved.

하루동안 창을 열지않음 | 닫기 x
하루동안 창을 열지않음 | 닫기 x